자원순환으로 하나되는 세상
KCRC가 건축재 재활용을 통해 밝은 내일을 만들어 갑니다.
우리 공제조합이 창립 2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.
깊은 감사 드리며,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.
|
|
|
공제조합 홍보영상을 제작하여
온라인 홍보활동을 개시하였습니다.
많은 관심 부탁드리며,
해당 채널 및 영상에
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♥ |
|
|
재활용의무생산자 설명회 개최 안내
2024년 11월 26일(화) ~ 11월 28일(목) |
공제회원을 대상으로 재활용의무생산자의 업무 및 2025년 사업계획 등을 안내하기
위하여 설명회를 개최합니다.
※ 품목별 설명회 날짜와 장소가
상이하오니 확인하시기를 바라며,
신청 마감되었으나 추가로 참석을
원하시는 분들은 조합으로 문의
주시기 바랍니다. |
|
|
- PVC 건축자재 재활용원료 사용 촉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
- PVC 건축자재 관련 정보교류와 재활용원료 해외 수출 확대 기대 |
|
|
- 건축재 관련 환경규제 정보 상호교류 및 건축재 친환경 개발
- 건축재의 자원 순환성 제고하기 위해 연구, 조사, 기술개발 등에 공동참여 |
|
|
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 ( 대통령령 제32148호, 2021.11.23.,
일부개정) 에 따라 재활용의무생산자의 재활용의무량 감경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
정하고자 함
◇ 주요내용
가. 2024년 재활용원료 사용량 인정한도 설정(제4조제5항제3호 신설)
- 재활용원료 사용 촉진을 위해 2024년 사용량은 제품, 포장재 출고량의 15% 비율 설정 |
|
|
◇ 주요내용
가. 재활용실적 증빙 절차 간소화(안 제10조제2항제1호, 제59조제2항ㆍ제4항)
나. 현장 조사체계 개선(안 제56조제3항, 제59조제1항)
다. 페트병 포장재 재활용실적 인정기준 확대(안 제61조제2항)
라. 신규 EPR 품목의 공제조합 가입기한 연장(안 제6조제3항ㆍ제4항) |
|
|
- UN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탄생
- 우리는 협약에서 무엇을 기대하는가
- 플라스틱 전주기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|
|
|
- 한국환경산업기술원,
북유럽 제품환경성선언(EPD)
인증 기관과 상호인정 협력 |
|
|
- 파리협정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기반
조성 목표
- 신규 기후재원 조성 목표 및 파리협정
제6조 세부 이행지침 운영화 완결에 대한
합의를 위해 당사국 간의 열띤 협상이
이어질 전망 |
|
|
- 이병화 환경부 차관 녹색산업 혁신성장
옴부즈만 규제개선 간담회 주재 |
|
|
- 스위스 정부의 다양한 재활용 활동 지원과 국민들의 높은 환경의식
- 리사이클링을 넘어 업사이클링을 통한
부가가치 창출 |
|
|
- 높은 내구성, 유지보수·설치 용이성, 높은 가격경쟁력으로 지속 보편화 전망
- 고금리 지속에 따른 건설경기 둔화에도
불구, 경질 바닥재 선호도 증가에 따른
신규 수요 기대 |
|
|
- 올해 1월부터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
- 품목별 재활용률과 처리 방법 확인 필요
- 제도 이해 기반, 중장기적 사업기회로
활용해야.. |
|
|
07333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69길 23, 한국금융아이티빌딩 9층
(여의도역 5번 출구 710m, 샛강역 2번 출구 529m)
T : 02-786-2219 | F : 02-786-2236 | www.ikcrc.or.kr |
|
|
|